같은 조선 상승사이클, 기자재별 다른 투자전략
- LNG운반선 중심의 신조선가 상승 속, 건조 물량 확대, 선가 상승 영향 등이 이어지고 있음
- 국내 조선업과 궤를 가이하는 조선 기자재 업종에도 시장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
- 조선 기자재 업종 또한 투자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
피팅 산업: 글로벌 오일&가스 투자 확대(Feat. 해양플랜트)
- 글로벌 전쟁과 산유국들의 감산 기조 이어지며 오일과 가스 투자 확대가 이뤄지는 시점
- 육상에서 해상으로 옮겨가는 원유/가스 생산에 따른 해양플랜트 발주 규모 확대로 피팅 업체 실적 개선세 이어질 전망
- 과거 고유가 사이클 시기에 수혜를 입은 피팅 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
보냉재 산업: 새로운 매출원의 확보&견고한 ‘브릿지’ 연료 LNG
- 러-우 전쟁 이후 글로벌 LNG 수요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동과 북미 지역 중심의 LNG 생산량이 확대되는 중
- 국내 조선사의 경우 연평균 60 척 내외의 안정적인 LNGC 수주가 예쌍됨
- 글로벌 선주들의 낮은 BOR 요구로 인해 새로운 매출원을 확보하며 국내 보냉재 업체의 매출 상방 제한이 해소된 국면
선박엔진 산업: IMO 환경규제와 노후선대 교체 사이클
- IMO 환경규제로 인한 친환경 선박 교체수요 증가는 선박엔진 산업의 성장이 이어지는 모습
- 친환경규제와 함께 노후선대 교체 사이클이 맞물려 앞당겨질 제 3 차 슈퍼 사이클은 엔진 산업의 강력한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
- 친환경규제에 가장 민감한 컨테이너선의 친환경 교체발주가 거의 완료됐다는 점에서 내년부터 수주 규모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
-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할 전망